반응형 전체 글74 2026년부터 '월세 세액공제 적용 대상자와 주택'이 확대 된다고? 이재명 정부가 7월 31일 발표한 2025년 세제개편안 내용 중 주거비 부담 완화에 대한 중요한 내용이 있습니다. 즉 월세 환급금으로 불리는 월세 세액공제 적용 대상자 및 대상주택 확대 안이 담겼습니다. 월세를 살고 계시거나 사실 계획이 있으신 분들은 반드시 알아두실 필요가 있습니다. 월세 세액공제는 말 그대로 월세에 대해 세금을 직접 줄여주는 제도입니다. 소득을 줄여주는 소득공제 방식과는 달리 납부할 세금자체를 줄여주는 제도입니다. 중요한 제도인 만큼, 현행 월세 세액공제 대상자와 주택, 세액 공제 혜택을 알아보고, 2026년 세제개편안에 담긴 월세 세액공제 개편 내용에 대해서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현행 월세 세액공제 대상 및 혜택(2025년 기준) 월세 세액공제는 공제대상자와 대상.. 2025. 8. 3. 2026년 기준 중위소득 역대 최대 6.51% 인상, 달라지는 기초생활보장 급여는? 보건복지부는 2026년 기준 중위소득을 7월 31일 발표했습니다. 국민 가구소득의 중윗값인 중위소득은 기초생활보장급여 책정 등 각종 복지사업의 선정기준에 활용되는 만큼, 매우 중요한 지표입니다. 보건복지부는 2026년 기준 중위소득과 함께, 기초생활보장 급여별 선정기준과 최저보장 수준을 심의·의결하면서 2026년 기준은 6.51%로 역대 최대로 인상했다고 밝혔습니다. 중위소득의 인상률과 이에 따른 기초생활보장급여(생계급여, 의료급여, 주거급여, 교육급여)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2026년 기준 중위소득 얼마나 올랐나? 앞서도 말씀드렸지만 2026년 기준 중위소득(4인 가구 기준)은 6.51% 인상되었습니다. 2025년 기준 6.42% 보다도 높아진 수치입니다. 수치로보면 최근 10.. 2025. 8. 3. 2025년 한미 상호관세 협상 결과와 평가, 우리 경제에 미칠 영향은? 우리나라는 트럼프 대통령이 25%의 상호관세를 부과하겠다던 8월 1일을 바로 앞둔 7월 31일 미국과 큰 틀에서 관세 협상을 마쳤습니다. 우리나라에 앞서 일본과 유럽연합(EU)도 협상을 진행했던 터라 서로 비교가 되며 시장에서 여러 평가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일단은 표면적으로 보면 15%의 관세율로 협상을 했기 때문에 일본과 EU와 비슷하게 한 것으로 평가는 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자동차를 비롯해 기대했던 부분이 있어 아쉽다는 평도 있습니다. 그렇다면 현재까지 나온 관세 협상 결과와 평가, 향후 우리 경제에 미칠 영향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한미 상호관세 협상 결과 우리나라는 구윤철 경제부총리와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을 대표로 하여 미국 현지시간 7월 30일 17시 백악관에서.. 2025. 8. 2. 증시 폭락 불러온 2025년 세제개편안 무슨 내용이길래? 8월 1일은 주식 투자자들에게는 악몽과도 같았던 날이었습니다. 코스피가 무려 전날 대비 3.88% 하락한 3,119.41에 마감했습니다. 코스닥은 4.03% 폭락한 772.79로 마감되었습니다. 이날 언론들에서는 주가 폭락의 원인으로 정부가 7월 31일 발표한 '2025년 세제개편안'과 한미 관세협상의 실망감으로 보도했습니다. 물론 이재명 정부 출범에 따른 기대감으로 코스피가 3천 포인트를 넘은데 따른 조정이라고 볼 수도 있겠지만, 조금 심하다 싶을 정도로 증시가 폭락한 만큼, 2025년 세제개편안에 대해 살펴볼 필요가 있겠습니다. 1. 주식시장에 영향을 준 '2025년 세제개편안' 주요 내용 2025년 세제개편안은 ▲경제강국 도약 지원, ▲민생안정을 위한 포용적 세제, ▲세입기반 확충 및 조세제.. 2025. 8. 2. 이전 1 ··· 4 5 6 7 8 9 10 ··· 19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