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증권&금융&재테크

MSCI 지수 편입조건과 장점, 2025 한국 주요 종목은?

by 해피머니공작소장 2025. 8. 9.
반응형

 8월 8일 두산, 효성중공업, LIG넥스원이 선진지수로 알려진 MSCI(Morgan Stanley Capital International) 스탠더드 지수에 새롭게 편입되었다는 뉴스가 있었습니다. 이 종목들은 그래도 우리나라에서는 우량 종목들입니다. 그만큼 이 지수에 편입되기가 쉽지 않기 때문에 지수 편입 자체만으로도 호재가 되어 주가가 상승하기도 합니다. 대체 MSCI는 무엇이고, 편입조건은 무엇인지, 어떤 종목들이 편입되어 있는지, 장점은 무엇인지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MSCI 란?

 

 MSCI는 글로벌 주식과 채권, 파생상품 지수와 투자 분석 도구를 제공하는 회사를 말하며, MSCI 지수는 글로벌 기관투자자들이 ETF나 인덱스펀드의 투자를 결정하는 기초지수로 활용합니다. 이름에 모건스탠리(Morgan Stanley)가 들어가서 모건스탠리에서 운용하는 지수로 생각하실 수 있는데 지금은 전혀 모건스탠리와 관계가 없습니다. 

 

 1969년 미국 투자은행인 모건스탠리가 전 세계의 주식시장을 분석하기 위해 Capital International이라는 투자 리서치 회사의 데이터와 지수 서비스를 인수한 후, Morgan Stanley Capital International이라는 이름으로 글로벌 주식 지수를 개발하여 제공하면서 시작된 것은 맞습니다. 이때 만들어진 것이  MSCI 지수(예: MSCI World, MSCI Emerging Markets)입니다.

 

  모건스탠리는 2007년 투자은행(IB) 본연의 업무와 지수·데이터 사업을 분리하여 운영하고자 MSCI를 독립 법인으로 분사시켰습니다. 분사 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 MSCI라는 티거로 상장을 시켰으며, 현재 MSCI Inc. 는 지수·데이터·리스크 분석 전문 회사로 모건스탠리와 지분 관계없습니다. 이름은 모건스탠리가 있지만, 실질적으로는 법적으로나 재무적으로나 완전히 독립된 회사입니다. 

 

 MSCI 지수는 특정 시장의 주식 성과를 대표적으로 측정하는데 활용되고, 종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 MSCI World: 선진국 주식시장
  • MSCI Emerging Markets: 신흥국 주식시장
  • MSCI ACWI: 선진국 + 신흥국 통합
  • MSCI IMI: 대형·중형·소형주를 모두 포함

 

 

 

 

2. MSCI  편입조건은?

 

1) 편입조건

 

 MSCI 지수는 편입 여부를 결정할 때 규모(Size), 유동성(Liquidity), 자유유통주식(Free Float), 거래 가능성(Investability)이라는 네개의 척도를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즉 네 가지를 중심으로 한 편입조건은 대략적으로 다음과 같습니다. 

 

 ▶시가총액 요건 : 자유유통조정 시가총액 (Free Float Adjusted Market Cap) 사용. 국가별, 규모별 최소기준을 충족해야 하고, 신규 편입 시에는 더 높은 문턱을 적용시킴. 예로 MSCI Standard Index 신규 편입 시에는 각 시장별 컷오프 이상의 시총이 필요함. 

 

 ▶자유유통주식(FIF, Foreign Inclusion Factor) : FIF는 외국인 투자자가 실제로 매수할 수 있는 주식 비율로 최소 자유유통주식 비율은 보통 15% 이상으로 이 비율을 충족해야 함. 외국인 보유 제한이 있는 경우 제한 비율 반영

 

 ▶유동성 요건 (ATVR: Annualized Traded Value Ratio)

  • 12개월 ATVR : 거래대금 ÷ 자유유통 시가총액
  • 최소 기준 : 선진국(Developed Markets) → 20% 이상, 신흥국(Emerging Markets) → 15% 이상
  • 최근 3개벌 ATVR과 거래빈도 요건도 충족 필요

 ▶거래 이력 : 신규 편입 종목은 최소 3개월 이상 상장 및 거래 필요

 

 2) 유지 및 제외기준

 

 MSCI 지수는 한번 편입된다고 계속 유지되는 것이 아닙니다. 분기별 리뷰 (QIR)와 연 2회 정기 리뷰(Semi-Annual Review)를 통해 편입된 종목을 재검토합니다. 이 검토를 통해 시총·유동성·자유유통 비율이 하락하거나 외국인 투자 제한 강화 시 지수에서 제외시킵니다. 

 

 

 

3. MSCI  편입 시 장점은?

 

 선진지수인 MSCI에 편입된다면 어떠한 점이 좋을까요?

 

  • 외국인 투자 비중 확대 : 글로벌 기관투자자들의 참고 지수이므로 편입된다면 외국인투자자들의 관심 리스트에 오름. 중장기적으로 외국인 보유 비중이 늘어나 거래량과 유동성이 좋아진다고 볼 수 있음. 
  • 주가 재평가 : 글로벌 지수 편입은 시장 신뢰 신호로 작용하여 PER, PBR 등 밸류에이션이 동종업계 평균 이상으로 재평가될 가능성이 커짐. 
  • 글로벌 패시브 자금 유입 : MSCI 지수를 추종하는 수천조 원에 달하는 ETF·인덱스펀드의 매수 대상이 되어 외국 자금 유입이 발생함. MSCI EM(신흥국) 지수 하나만 해도 약 2조 달러 이상이 추종하고 있음. 
  • 홍보 및 브랜드 효과 : 해외 애널리스트 리포트와 글로벌 금융 데이터 베이스에 자동 반영됨. 해외 기관이 기업 리서치와 투자 검토를 시작하는 계기가 됨. 
  • 장기 자금 안정성 : MSCI를 추종하는 자금은 장기 보유 성격이 강해 여러 단기 악재에도 비교적 안정적으로 주가가 관리될 수 있음. 

 

 

4. MSCI  지수 구성은?

 

 MSCI는  Global Investable Market Indexes Methodology라는 내부 기준에 따라 지수를 구성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각국 주식시장을 선진국(Developed), 신흥국(Emerging), 프런티어(Frontier) 등으로 나누고, 피라미드 구조로 지수를 설계합니다. 우선 우리나라는 MSCI 중 선진국이 아닌 MSCI Emerging Markets(신흥국 주식시장)에 포함됩니다. 선진국 주식시장에 포함 안된다는 것이 참 아이러니 합니다. 

 

 MSCI의 신흥국 주식시장은 다음과 같습니다. 

 

  • MSCI EM 지수  : 한국, 중국, 대만, 인도, 브라질 등 24개국
  • MSCI Korea Index : EM 지수의 ‘한국’ 부분, 2025년 8월 현재 81개 종목 편입
  • 대표 종목: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네이버, 현대차 등

 

 MSCI 지수의 기본적인 구조는 다음과 같습니다. 한국은 2025년 8월 기준 스탠더드와 스몰캡 등에 총 81개 종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MSCI Standard Index : 대형·중형주 중심, 각국 시총 상위 85% 커버 (한국은 8월 LIG넥스원, 효성중공업, 두산이 신규 편입 됨)
  • MSCI Large Cap / Mid Cap : 대형주와 중형주를 별도 구분
  • MSCI Small Cap Index : 소형주 포함
  • MSCI Investable Market Index (IMI) : arge + Mid + Small, 전체 시장 99% 커버
  • ESG·Factor·Sector 지수 : 가치·성장·저변동성·환경·산업별로 세분화

 

 

 

5. 우리나라의 주요 편입종목은?

 

 MSCI 공식 자료에 따르면, MSCI Korea Index는 한국의 대형 및 중형주를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2025년 7월 말 기준으로 81개 종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025년 7월 31일 기준 상위 10개 종목은 아래와 같습니다. 

 

  • Samsung Electronics Co (삼성전자)
  • SK Hynix 
  • Samsung Electronics Pref
  • KB Financial Group 
  • Hanwha Aerospace
  • Naver
  • Doosan Enerbility
  • Shinhan Financial Group 
  • Celltrion
  • Hyundai Motor Co(현대차)

※ 2025년 8월 8일 기준 신규 편입 및 편출 종목은?

  • 신규 편입 (3 종목) : LIG넥스원, 효성중공업, 두산
  • 지수 편출 (3 종목): LG이노텍, CJ제일제당, SK

6. 마치며

 

 MSCI 지수 편입과 관련해서는 우리 정부에서도 계속 강조해 온 부분입니다. 하지만 여전히 MSCI 중 신흥국 시장(EM)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때문에 MSCI 선진 지수 편입을 위해 노력을 해왔습니다. 이재명 정부 역시 선진지수에 편입되기 위한 TF를 만들고, 로드맵을 연내에 발표하여 시행하겠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선진 지수 편입이 가능할지 한 번 지켜봐야겠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