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교육급여2

2026년 기준 중위소득 역대 최대 6.51% 인상, 달라지는 기초생활보장 급여는? 보건복지부는 2026년 기준 중위소득을 7월 31일 발표했습니다. 국민 가구소득의 중윗값인 중위소득은 기초생활보장급여 책정 등 각종 복지사업의 선정기준에 활용되는 만큼, 매우 중요한 지표입니다. 보건복지부는 2026년 기준 중위소득과 함께, 기초생활보장 급여별 선정기준과 최저보장 수준을 심의·의결하면서 2026년 기준은 6.51%로 역대 최대로 인상했다고 밝혔습니다. 중위소득의 인상률과 이에 따른 기초생활보장급여(생계급여, 의료급여, 주거급여, 교육급여)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2026년 기준 중위소득 얼마나 올랐나? 앞서도 말씀드렸지만 2026년 기준 중위소득(4인 가구 기준)은 6.51% 인상되었습니다. 2025년 기준 6.42% 보다도 높아진 수치입니다. 수치로보면 최근 10.. 2025. 8. 3.
기준 중위소득의 개념과 2023년 금액, 생계급여 및 의료급여 등 급여별 수급자 선정 기준 생계급여, 의료급여, 주거급여, 교육급여 등 기초생활보장 급여의 수급자를 선정하는 기준으로 기준 중위소득이 사용됩니다. 기준 중위소득은 연도별로 중앙생활보장위원회의 심의 및 의결을 거쳐 보건복지부 장관이 고시하도록 되어있습니다. 기초생활보장제도 등 우리나라의 다양한 복지지원에 활용되는 기준 중위소득의 개념과, 2023년 금액, 기준중위소득에 따른 급여별 수급자 선정 기준 등에 대해 알아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1. 기준 중위소득의 개념 기준 중위소득은 '보건복지부장관이 기초생활보장 급여의 기준 등에 활용하기 위해 중앙생활보장위원회 심의 및 의결을 거쳐 고시하는 국민 가구소득의 중위값'입니다. 이러한 기준 중위소득은 기초생활보장 급여별 선정 기준과 생계급여 최저보장 수준으로 활용됩니다. 기준 중위소득의 산정.. 2023. 2. 2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