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돈 되는 생활 정보

2차전지 배터리 양극재 공장 합작에 나선 에코프로비엠·SK온·포드, 내용과 전망은?

by 해피머니공작소장 2023. 8. 19.
반응형

 전기차 배터리 핵심소재인 양극재를 생산하기 위한 공장을 완성차업체와 배터리사, 배터리 소재사가 합작하여 캐나다에 짓는다는 기사가 보도되었습니다. 즉 양극재-배터리셀-완성차라는 안정적인 밸류체인이 완성된다며, 장점을 부각하고 있습니다. 3사가 설립할 양극재 관련 합작법인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양극재 공장 위치와 규모는?

 언론에 따르면 에코프로비엠, SK온, 포드 3사는 8월 17일(현지시간) 캐나다 퀘벡주 베캉쿠아시 산업단지 내 27만 8,000㎡(약 8만 4,000평) 부지에 12억 캐나다달러(한화 약 1조 2,000억 원)를 투자해 합작공장(법인)을 짓는다고 밝혔습니다. 캐나다 연방정부의 퀘벡 주정부에서 본인들의 지역에 공장을 짓는 만큼, 캐나다달러 6억 4,400만 달러(한화 약 6,400억 원)의 재정지원까지 약속했습니다. 이들 3사는 2026년 상반기 공장 가동을 목표로 연간 4만 5,000톤 규모로 생산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2. SK온·에코프로비엠·포드의 협업은 처음?

 합작공장 설립 계획을 발표하기 전부터 이미 3사는 협업관계가 있었습니다. 즉 포드의 대형 전기 픽업트럭 F-150 라이트닝에 장착하는 배터리인 NCM9를 SK온이 제작하고, 이 배터리의 양극재는 에코프로비엠이 공급하고 있습니다. 향후 합작공장을 설립할 경우, 양극재-배터리-완성차라는 밸류체인의 형성은 물론, 가격 경쟁력도 생긴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캐나다에 있는 공장에서 생산하므로 미국 IRA의 핵심 광물 보조금 요건을 충족하기 때문입니다. 


 3. SK온과 에코프로비엠은 어떤 회사?

 

 ▶SK온은?

 SK온은 2021년 10월 1일 SK이노베이션 주식회사를 분할하여 설립하였습니다. SK온의 지분은 SK이노베이션으로 지분 96.54%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SK온은 2차 전지 등 전기차 및 ESS용 배터리 생산을 하고 있습니다. 배터리사업 부문에 있어서는 매출이 2022년에는 7조 6,177억 원가량 되었습니다. SK온의 상장 이슈와 관련해서는 아직 미확정입니다. 

 

*자료 : SK온 배터리사업 실적(전자공시시스템)

 

 ▶에코프로비엠은?

 

*이미지출처 : 에코프로비엠 사업영역(에코프로비엠 홈페이지)

 에코크로비엠은 요즘 핫한 에코프로그룹 계열사입니다. 에코프로비엠은 2016년 2월 3일 이사회 결의 및 2016년 3월 정기 주주총회 개최를 통해 에코프로가 영위하던 2차 전지 사업부문이 물적분할되어 신설되었습니다. 주로 양극재 소재를 생한하고 있습니다. 에코프로비엠은 하이니켈 NCA와 NCM 양극활물질로 니켈 함량을 최대화하여 에너지 밀도를 높이는 동시에 원가가 높은 코발트는 적게 사용하는 양극재를 생산하고 있습니다. 양극재 매출을 보면 2022년 말 기준 5조 3,576억 원 정도입니다. 보시면 아시겠지만 매출의 성장세가 가파릅니다. 

 

*자료 : 에코프로비엠 양극재 매출(전자공시시스템)

 매출의 성장세와 2차 전지 테마가 말해주듯이 에코프로비엠의 주봉차트를 보시면, 최고점 584,000원까지 폭등을 하고, 최근 조정구간에 돌입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에코프로와 함께 에코그룹의 핵심 가치주입니다. 향후 캐나다의 합작 공장이 돌아간다면, 더욱 성장을 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됩니다. 

 

*자료 : 에코프로비엠 주봉차트(8.18.기준 네이버)


 4. 마치며

 SK온, 에코프로비엠, 포드 3사는 에코프로비엠이 지난 2월 캐나다에 설립한 현지 법인 에코프로캠 캐나다가 공장을 운영하고, SK온과 포드는 합작법인에 지분을 투자하는 형태로 운영한다고 합니다. 2차 전지의 경우 주가는 잠시 조정을 보이고 있지만, 사업의 성장은 지속적으로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우리나라 배터리 양극재 회사, 배터리 제작사 등 2차 전지 관련 업체들이 미국을 포함하여 세계시장을 석권하길 기대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