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해피머니 공작소장입니다.
기후위기인지 이제 여름만 되면, 폭우와 폭염은 일상이 된 듯합니다. 그리고 해가 갈수록 더 더워지는 것 같습니다. 올여름도 정말 더운데요. 에어컨 없이는 못 살 정도입니다. 하지만 에어컨을 틀 때마다 항상 전기요금 걱정이 되곤 합니다. 누구나 한 번 정도는 생각해 볼 듯한데요. 그렇다면 에어컨을 한 달 내내 튼다면 전기요금이 얼마나 나올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에너지소비효율 1등급 인버터형 에어컨(스탠드형) 전력 사용량
1등급 인버터형 에어컨의 경우 하루 평균 소비전력을 0.8 kW로 잡고 24시간 풀가동, 한 달 내내 튼다고 가정하면 총 전력 사용량은 대략 576 kWh 정도 됩니다.
- 평균 소비전력: 하루 평균 0.8 kW
- 사용 시간: 24시간 × 30일 = 720시간
- 총 전력 사용량: 0.8 kW × 720h = 576 kWh/월
2. 주택용 전기요금 누진제 요율
일반 가정용 전기요금 누진제 요율은 3단계까지 대략 표와 같은 수준입니다. 따라서 한 달 동안 풀 가동했을 경우, 1단계에서부터 3단계까지 모두 적용되므로 각 단계에 맞게 계산을 해주면 됩니다.
1단계 | 300 kWh까지 | 110.7원/kWh |
2단계 | 301 ~ 450 kWh | 206.4원/kWh |
3단계 | 451 kWh 이상 | 299.3원/kWh |
3. 전기요금 계산
전기요금 계산은 누진 단계별 전력량 요금을 계산한 후, 기본요금을 산정하고 기후환경요금 및 부가세를 더해서 구하면 대략 아래와 같습니다. 물론 삼성 에어컨이냐, LG 에어컨이이냐 등의 에어컨 종류와 평수, 온도설정 등에 따라서 전기요금 차이가 있겠죠?
① 전력량 요금 계산
- 1단계 (0~300 kWh): 300 × 110.7 = 33,210원
- 2단계 (301~450 kWh): 150 × 206.4 = 30,960원
- 3단계 (451~576 kWh): 126 × 299.3 = 37,701.8원
→ 전력량 요금 합계 ≒ 101,872원
② 기본요금 산정
- 7,300원 (주택용 5~7kW 이하 기준)
③ 기후환경요금 및 부가세
- (기후환경요금) 576 kWh × 9원 = 5,184원
- (부가세) : (기본요금 + 전력량 요금) × 0.1 = (7,300 + 101,872) × 0.1 ≒ 10,917원
▶️ 총합계 = 약 125,300원 (한 달 내내 튼다면 약 12만 5천 원 수준으로 나옴)
* 에어컨 종료, 평수, 온도설정 등에 따라 조금씩 다를 수 있음.
3. 에어컨 한 달 내내 틀면서 전기요금 절약하는 방법은?
대략적으로 인버터 에어컨(0.8kW 기준)을 한 달 내내 틀면 약 12만 원 정도 나온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럼에도 더욱 절약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온도설정+구조적 열 차단+효율운전을 하면 더욱 줄일 수 있어요!
- (적정 온도 26~28도 유지) 온도를 1도 올릴 때마다 약 7%의 전기 절감 효과가 있습니다. 너무 낮추는 것보다 적정하고도 쾌적한 온도를 유지하는 습관이 중요합니다.
- (절전 타이머 / 예약 기능 활용) 취침을 하는 심야 또는 새벽 중에는 외부 온도가 내려가므로 절전모드로 해두시면 좋습니다.
- (실외기 통풍 확보) 실외기를 벽과 최소 30cm 이상 거리를 확보하고 햇볕 가림막 설치를 한다면 더욱 효과적입니다. 실외기 주변에 열이 쌓이면 냉방 능력이 감소하고, 이는 전력 소비 급증으로 이어지게 됩니다.
- (냉기 유출 차단) 방문이나 중문, 거실문 등을 반드시 닫아 냉기가 나가는 것을 최소화해야 합니다.
- (인버터 에어컨은 유지 운전) 인버터 에어컨은 지속적으로 운전 시 더욱 효율적입니다. 오히려 껐다 켰다를 반복한다면 더 많은 전력을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4. 마치며
올여름은 유달리 더운 것 같습니다. 2026년 여름은 또 어떻게 될지 궁금하기도 합니다. 아마도 지금과 비슷하거나 더 더워질 가능성이 크겠죠? 에어컨이 우리 환경에는 좋지는 않겠지만 어쩔 수 없는 상황이 오는 것 같습니다. 어쨌든 최대한 지혜롭게 전력을 덜 쓰고 시원하게 여름을 나는 방법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고 봅니다. 모두 더운 날씨에 건강하시길 바랍니다.
'돈 되는 생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으뜸효율 가전제품 환급사업 한방에 정리 (1) | 2025.08.04 |
---|---|
2026년부터 '월세 세액공제 적용 대상자와 주택'이 확대 된다고? (4) | 2025.08.03 |
2025년 한미 상호관세 협상 결과와 평가, 우리 경제에 미칠 영향은? (4) | 2025.08.02 |
증시 폭락 불러온 2025년 세제개편안 무슨 내용이길래? (5) | 2025.08.02 |
선착순 '6천원 영화 할인권' 무조건 챙기자 (2) | 2025.07.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