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주거급여3 2024년 기초생활보장 생계급여 4인가구 최대 21만 3천 원 인상 보건복지부에서는 2024년 1월 3일 기초생활보장 급여 중 하나인 생계급여가 1월부터 인상된다는 보도를 했습니다. 그 외에도 주거급여, 의료급여, 교육급여도 인상 또는 기준 완화가 된다고 밝혔습니다. 기초생활보장제도가 '생활이 어려운 사람에게 필요한 급여를 실시하여 이들의 최저생활을 보장하고 자활을 돕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만큼, 취약계층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2024년 달라지는 기초생활보장 급여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2024년 생계급여 인상 생계급여는 1인가구 기준 9만 원(14.4%)이 인상되며, 4인가구 기준 2023년 162만 1천 원에서 2024년 183만 4천 원으로 21만 3천 원가량 인상된다고 합니다. 전년 대비 13.16%가 증가하는 셈입니다. 이는 .. 2024. 1. 3. 기준 중위소득의 개념과 2023년 금액, 생계급여 및 의료급여 등 급여별 수급자 선정 기준 생계급여, 의료급여, 주거급여, 교육급여 등 기초생활보장 급여의 수급자를 선정하는 기준으로 기준 중위소득이 사용됩니다. 기준 중위소득은 연도별로 중앙생활보장위원회의 심의 및 의결을 거쳐 보건복지부 장관이 고시하도록 되어있습니다. 기초생활보장제도 등 우리나라의 다양한 복지지원에 활용되는 기준 중위소득의 개념과, 2023년 금액, 기준중위소득에 따른 급여별 수급자 선정 기준 등에 대해 알아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1. 기준 중위소득의 개념 기준 중위소득은 '보건복지부장관이 기초생활보장 급여의 기준 등에 활용하기 위해 중앙생활보장위원회 심의 및 의결을 거쳐 고시하는 국민 가구소득의 중위값'입니다. 이러한 기준 중위소득은 기초생활보장 급여별 선정 기준과 생계급여 최저보장 수준으로 활용됩니다. 기준 중위소득의 산정.. 2023. 2. 20. 기초생활보장 긴급복지지원제도, 지원대상과 내용, 지원금액 최근 언론을 통해 우리나라 근로소득 5 분위 배율 격차가 코로나19 유행 이후 벌어지고 있는 것으로 보도되었습니다. 2017년 16.3배에서 2019년 14.6배로 간격이 조금 좁혀졌으나, 2021년에 와서 다시 15.1배로 늘어났습니다. 그만큼, 소득양극화가 심화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덧붙여 2021년 기준 소득 상위 20%의 소득은 9,898만 원인 반면, 소득 하위 20%는 654만 원 밖에 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소득 상위계층은 여러 가지 이유로 경제적 위기가 와도 어느 정도 버틸 여력이 있으나 소득 하위계층은 생계유지 자체가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때문에 국가에서는 기초생활보장제도를 통해 다양한 복지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1. 긴급복지지원제도 우리나라는 갑작스러운 위기상황으로 생계유.. 2023. 2. 19.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