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돈 되는 생활 정보

은행 예·적금 시즌이 돌아오나? 우리은행 등 5대 은행 예금금리 인상 현황 알아보기

by 해피머니공작소장 2023. 6. 18.
반응형

 지난 6월 8일 금융권에 따르면 5대 은행(KB국민, 신한, 하나, 우리, NH농협)의 예금금리가 채권금리 상승 영향으로 3% 후반대로 인상되었다고 합니다. 요즘에 누가 저축을 하냐고 하는 사람도 있지만, 목돈을 만들기 위해서는 안정적인 예금도 괜찮다고 봅니다. 주식이나 펀드 등의 경우 지수와 연동이 되어 있어 리스크가 크기 때문입니다. "계란을 한 바구니에 담지 말라"는 말이 있듯이 투자자금 내에서 예금이나 주식, 부동산 등 비중을 잘 조절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은행 예금금리 인상내용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은행 예금금리 인상 현황

 5대 은행의 1년 만기 최고금리(6월 8일 기준)는 NH농협은행의 'NH올원e예금'이 연 3.8%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KB국민은행 'KB국민수퍼정기예금'이 연 3.75%, 하나은행 '하나의정기예금'이 연 3.75%, 우리은행 'WON플러스예금'이 연 3.73%,  신한은행 '쏠편한 정기예금'이 3.72% 순으로 높았습니다. 5대 은행들은 예금금리를 3.7%~3.8%대로 올린 것입니다. 

 

 ▶우리은행  'WON플러스예금' 및 NH농협은행의 'NH올원e예금'

*자료 : 우리은행 예금 및 NH농협은행 예금

 

하나은행 '하나의정기예금' 및 KB국민은행 '국민수퍼정기예금' 

 

*자료 :  하나은행 및 KB은행 정기예끔(네이버 금리)

 

 ▶신한은행 쏠편한 정기예금과 IBK 성공의 법칙 예금

 5대 은행에 대해서는 소개해드렸고, IBK의 경우 최고금리 4.10%의 예금도 있습니다. 게다가 복리채입니다. 이러한 상품들도 관심을 두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자료 : 신한은행 및 IBK기업은행 예금(네이버 금리)

 

  은행들의 예금금리 인상 배경에는 정기예금의 금리산정 지표로 사용되는 은행채 금리의 상승이 있었습니다. 은행채 1년물(무보증·AAA) 금리는 6월 5일 기준 3.862%로 5월 3.612%에 비해 0.2% p 정도 상승을 했습니다. 그리고 은행의 유동성커버리지비율이 6월 말 이후 정상화 되면서 95%까지 유동성을 확보해야 한다는 점도 작용한 것으로 보입니다. 


 2. 5대 은행 정기예금 잔액 현황

 5월 말 기준 5대 은행의 정기예금 잔액이 817조 5,915억 원으로 전월 805조 7,827억 원보다 증가했습니다. 정기적금 잔액도 5월 말 기준 39조 420억 원으로 전월 37조 9,878억 원에 비해 증가했습니다. 아마 4월부터 시중은행들의 예금금리 상승이 예적금으로의 유입을 시킨 것으로 보입니다. 


3. 5대 저축은행 예금금리와 잔액은?

 5대 저축은행의  6월 8일 1년 만기 정기예금 금리는 평균 3.99% 정도였습니다. SBI저축은행을 제외한 나머지 저축은행들은 4%대의 예금금리를 기록했습니다. OK저축은행의 '이-안심앱플러스정기예금'은 연 4.51%, 한국투자저축은행의 '비대면회전정기예금', 페퍼저축은행의 '회전정기예금', 웰컴저축은행의 정기예금의 금리는 연 4%를 기록했고, SBI저축은행 금리는 연 3.6%였습니다. 

 

 이렇듯 저축은행들의 금리가 시중은행과 큰 차이가 없어서인지, 5대 저축은행들의 정기예금 잔액은 감소했습니다. OK저축은행·SBI저축은행·한국투자저축은행·페퍼저축은행·웰컴저축은행 등 5대 저축은행의 1분기 정기예금 잔액은 총 38조 9456억 원으로 전분기 40조 3852억 원보다 1조 4396억 원(3.6%) 감소했습니다. 저축은행들의 경우 실적악화에 이어, 자금의 이탈 문제까지 겪고 있는 상황으로 보입니다. 


 4. 마치며

 6월 8일 기준 현재 시중은행의 예금금리가 평균 3%대 후반까지 올라왔고, 4%대 초반의 예금도 있습니다. 물론 국제금리와 국내 금리동향, COFIX 금리 등의 영향이 있겠지만, 은행이 유동성 제고와 자본건전성을 높이려고 한다면 예금금리 인상이 더 있을 수 있다고 보입니다. 주식시장도 많이 과열이 되고 있는 것으로 보이고, 부동산 시장 역시 침체기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만큼, 은행 예금에 관심을 두는 것도 나쁘지 않아 보입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