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려동물정보

반려동물관리사 자격기관 이렇게나 많다고? 자격등급과 합격률, 응시료 등 알아보기

by 해피머니공작소장 2023. 5. 20.
반응형

 반려동물을 양육하는 가구수가 늘어나고 관련 산업이 급성장함에 따라 관련 일자리에 대한 수요도 늘어나고 있습니다. 따라서 관련 자격증 또한 많이 생기고 있습니다. 반려동물 관련 자격증은 대부분 민간자격증이기 때문에 종류도 많습니다. 우선 반려동물 관련 여러 자격증 중 반려동물관리사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반려동물관리사란?

 반려동물관리사는 다양한 관련 지식을 습득하여 반려동물의 유통, 수입검역과정, 학대방지, 사후관리, 특수견 관리, 사육 및 분양, 핸들링, 위탁관리, 위생관리, 관련 상담, 동물사양 관리, 반려동물 사육 및 분양, 교육 및 훈련 등 관련 제반업무를 수행하는 전문가를 말합니다. 아울러 반려용품 판매 시 정확한 정보를 전달하고, 고객관리 등의 업무도 수행합니다. 

 


 2. 자격관리기관(발급기관)

 민간자격정보를 한눈에 볼 수 있는 민간자격정보서비스 홈페이지에서 '반려동물관리사'를 검색해 보고 깜짝 놀랐습니다. 아무리 반려동물 산업이 커지고 있다고 하지만 자격관리기관(발급기관)이 2023년 5월 20일 기준 88곳이나 등록되어 있었습니다. 한국반려동물관리협회, 한국애견협회, 한국자격평가원, 대한반려동물관리협회 등 자격관리기관이 정말 많이 있습니다. 클릭해서 각 기관에 들어가면 자격내용이 비슷하면서도 조금씩 차이가 있습니다. 

 

*자료 : 반려동물관리사 자격관리기관정보(민간자격정보서비스)


 3. 자격등급과 합격률은?

※등급 구분(1급과 2급) vs 등급구분 없음
※합격률은 자격기관마다 조금씩 차이가 있으나 대부분 높음(90% 이상)

 

 

 자격관리기관(발급기관)마다 자격등급이 차이가 있습니다. 1급과 2급으로 등급을 나누는 곳도 있고, 등급이 없는 곳도 있습니다. 자격등록이 오래된 기관 중 하나인 (사)한국애견협회의, 한국반려동물매개치료협회, (주)한국교육진흥협회 등의 경우 1급과 2급으로 등급을 구분하며, (주)한국반려동물관리협회의 경우 등급을 구분하지 않습니다. 

 

 1급과 2급을 구분하는 자격증의 경우 직무내용이 조금씩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한국반려동물매개치료협회 1급과 2급 정보를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1급의 경우 반려동물 문화 증진을 위한 사회사업과 봉사 등 반려동물 관련 산업에 대해 2급에 비해 더 깊은 내용을 다룬다고 보면 될 것 같습니다. 등급이 구분되는 자격을 취득할지, 아니면 등급구분 없는 자격을 취득할지는 선택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이왕이면 많은 사람들이 응시하는 곳을 알아보시길 바랍니다. 아무래도 이유가 있기 때문에 사람이 몰리는 것입니다. 88곳 기관의 자격에 대해 전반적으로 한 번 둘러보시길 바랍니다. 

 

*자료 : 반려동물관리사 1급 및 2급 직무내용 구분(한국반려동물매개치료협회, 민간자격정보서비스)


 4. 반려동물관리사 시험과목과 합격률은?

 자격시험은 기관마다 차이가 있습니다. 보통 1차 이론과 2차 실무로 나뉘어서 검정을 합니다. 1차 이론과 2차 실무 검정 내용이 기관마다 조금씩 다릅니다. 물론 기본적인 반려동물총론 또는 개론, 반료동물사육, 보건학, 관련 법령 등의 내용은 거의 들어가는 것으로 보입니다. 

 

 

 반려동물관리사자격 증 합격률은 자격기관마다 조금씩 차이가 있으나 대부분 높은 것으로 보입니다. 민간자격 몇 군데를 둘러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한국반려동물관리협회의 합격률은 대부분 90%가 넘는 것으로 보입니다. 응시자수도 많은 편입니다. 

 

*자료 : 한국반려동물관리협회 자격증 합격률 (민간자격정보서비스)

 

 ▶한국반려동물매개치료협회 자격증 합격률도 90% 이상이 되는 것으로 보입니다.  

 

*자료 : 한국반려동물매개치료협회 자격증 합격률 (민간자격정보서비스)

 

 ▶사단법인 한국애견협회의 자격증 합격률은 거의 100%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옵니다. 합격률이 정말 높습니다. 

 

*자료 : (사)한국애견협회 자격증 합격률 (민간자격정보서비스)

 


 5. 응시료, 교육비, 자격발급비 등

 민간자격이다 보니 관련 기관마다 응시료, 교육비, 발급비 등 금액이 적지 않은 것 같습니다. 응시료는 6만 원 정도이며, 교육비는 기관마다 차이가 있습니다. 교재비 또한 필요한 경우도 있고 아닌 경우(온라인 강의 등)도 있습니다. 자격증 발급비 또한 조금씩 차이가 있습니다. 3만 원부터 5만 원까지 다양합니다. 각 기관별 홈페이지를 들어가 보시면 관련 비용이 나옵니다. 전반적으로 비용이 싸지는 않아 보입니다. 자격관리기관이 많다는 것은 시쳇말로 그만큼 장사가 되기 때문에 몰리는 것입니다. 반려동물 관련 자격증 중 국비 또는 시비지원이 되는 곳은 가끔 언론을 통해 보도가 나오기는 하지만 잘 없는 것으로 알려져있습니다. 

 

반응형

댓글